해외여행을 출발하기 전 해당 국가 비자를 꼭 확인하세요.
비자(VISA)란 무엇인가?
비자는 다른 나라에 입국과 체류를 목적으로 해당 나라 정부로부터 발급받는 공문서입니다. 해당 국가는 이민법과 출입국 규정에 따라 발급하며 목적과 체류 기간에 따라 여러 가지의 비자가 있습니다.
다양한 비자 종류 중에 여행, 노동, 사업, 유학 등의 목적에 따라 비자를 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여행(관광) 비자는 잠시 해당 나라에 방문하여 여행을 즐기기 위해 발급되는 반면 학생 비자는 장기적으로 학업을 목적으로 해당 날에 체류하기 위해 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비자를 신청할 때에는 해당 나라에서 요구하는 문서와 정보를 제출해야 합니다. 또한 온라인을 통행 신청을 할 수도 있습니다.
비자 발급 및 종류 알아보기
비자 종류는 각 나라마다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비자 종류는 소개합니다.
A. 무비자 : 여권만 있으면 입국이 가능한 비자입니다. (왕복 항공권 지참)
대표적으로 베트남, 태국, 일본 등의 나라가 있습니다.
B. E-비자(전자비자) : 온라인 통해 비자 신청하는 방식이고 보통 단기 체류를 목적으로 받습니다.
승인된 E-비자 서류를 인쇄한 후 입국 심사대에 여권과 함께 제출합니다.
C. 도착 비자 : 사전 신청 없이 공항이나 국경에서 서류 작성만으로 비자를 받는 경우 대표적으로 캄보디아가 있습니다. 또는 사전에 승인받은 비자를 공항이나 국경에서 비자확인서와 사진을 제출하여 발급받는 경우입니다. 해당 국가 대사관이나 영사관을 방문하지 어려운 경우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D. 여행(관광) 비자 (Tourist Visa) : 다른 나를 여행하기 위해 받는 비자입니다. 대한민국 여권을 소지한 경우에는 보통 30일을 받고 최대 90일까지 주는 나라도 있습니다. (베트남은 15일 무비자입니다.)
E. 상업 비자 (Business Visa) : 다른 나라에서 상업 관련된 활동을 하기 위행 발급받는 비자입니다. 회의, 세미나, 거래 등과 관련된 활동이며 콘서트나 공연 수입을 목적으로 입국할 경우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F. 학생 비자 (Student Visa) : 다른 나라에서 학업을 목적으로 장기 체류하기 위해 발급되는 비자입니다. 해당나라마다 각기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입학허가된 학교에 납부 완료한 등록금만큼만 체류 기간을 부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학생에 대한 체류기간 내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사고에 대해 학교가 보증하는 방식이라고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전에 학교에 이메일로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G. 노동 비자(Work Visa) : 다른 나라에서 일을 하기 위해 발급되는 비자입니다. 보통 해당 나라의 노동 허가를 취득한 후에 받는 비자입니다. 고용한 기관이나 회사에 노동 계약을 완료하고 건강검진 범죄유무 등등 다양한 서류를 요구합니다. 비자 기간은 노동 계약을 기준으로 승인도 됩니다.
H. 가족 비자(Dependent Visa) : 대부분 노동비자를 소지한 가족을 초청할 경우 발급하는 비자입니다. 비자 기간은 노동 비자받은 내용으로 정해지며 대부분은 비슷한 기간으로 승인됩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무비자와 도착비자가 가능할 경우 두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비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형행 전 해당 국가의 대사관이나 영사관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외에도 특수한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비자가 있습니다. 비자 신청은 해당 국가를 방문하기 전 확인하시를 권해드립니다. 해당 국가 입국 목적과 다른 비자를 소지한 경우 문제 돼서 각종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 여권으로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및 기간
무비자는 입국하고자 하는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비자 없이 체류할 수 있게 해주는 제도이다. 이러한 나라들은 방문 목적, 체류 기간 등에 대한 제한 있습니다. 특히 무비자로 입국 후 노동이나 수익 활동을 하면 안 됩니다. 다음은 무비자 여행이 가능한 나라들입니다.
A. 일본 (90일 이내)
B. 이스라엘 (90일 이내) - 여행경보 2단계(여행자제) 인지 꼭 확인하기 바랍니다
C. 필리핀 (30일 이내)
D. 태국 (30일 이내)
E. 싱가포르 (90일 이내)
F. 홍콩 (30일 이내)
G. 대만 (30일 이내)
H. 베트남 (15일 이내)
I. 라오스 (30일 이내)
J. 그리스 (90일 이내)
이외에도 무비자 여행이 가능한 나라들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여행 계획을 세울 때에는 항상 외무부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 여권으로 도착 비자 입국 가능한 국가 및 비용
A. 캄보디아 usd30
B. 네팔 usd 25~100, 체류 일수에 따라 변동됩니다.
C. 사우디아라비아 usd80
D. 쿠웨이트 무료
F. 레바논 무료
이외에도 도착 비자를 받을 수 있는 더 많은 나라가 있습니다. 도착 비자 발급 조건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한국 여권으로 전자 비자 신청 후 입국해야 하는 국가 및 비용
전자 비자는 사전에 온라인으로 신청을 해서 받을 수 있으나 한글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약간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여행사를 통해 대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A. 미얀마 usd50
B. 인도네시아 usd15
C. 인도 usd 25
D. 이란 EUR75
E. 러시아 usd40
F. 터키 usd20
G. 미국 usd14 - ESTA적용
H. 캐나다 CAD7 - eTA적용
I. 호주 AUD20 - ETA적용
J. 케냐 usd51
해외여행을 할 경우 꼭 먼저 준비하셔야 할 준비물은 여권과 비자입니다. 또한 입국 전 입국 등록을 요청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싱가포르, 이스라엘이 있습니다. 무비자이자만 입국 전 입국 심사를 하는 것입니다. 이 절차를 생략하고 입국할 경우 도착한 공항에서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